2010-06-21

Smaart 사용법(4) - 스피커 측정

스마트를 이용해서 스피커를 측정하는 방법

1. 시스템 셋업

아래 그림과 같이 시스템을 연결하고, 입력 레벨등을 적절한 값으로 조정한다.


2. 임펄스 응답 측정하기


임펄스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[Impuse]버튼을 누르면 된다.



다음과 비슷한 화면이 나타난다.

측정 그래프의 x축의 단위는 시간이고, y축은 Log, Linear, ETC(Energy-Time Curve)의 3가지 모드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.

3. 전달함수 측정하기

전달함수 측정을 위해서는 [Transfer]버튼을 눌러서 전달함수 측정 모드로 들어간다.
본격적인 측정에 앞서서 우선 스피커와 측정 마이크 사이의 시간 지연값을 알아야 한다.시간 지연의 측정은 [Auto Sm]버튼으로 한다.


[Auto Sm]은 Delay Auto-Locator Small의 약자로 background에서 임펄스 응답 측정을 통해서 시간 지연을 계산해 주는 기능이다. 결과 화면은 다음과 같다.
위의 경우에 시간지연은 2.29ms, 그리고 스피커와 마이크간의 거리는 2.58ft로 구해졌다. 이 시간 지연값을 전달함수 측정에 사용하고 싶으면 [Insert Delay]버튼을 누르면 된다.

*참고
  1. 시간지연값이 터무니없이 너무 길게 나온 경우에는 사운드 카드의 ref입력과 측정입력이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한다.
  2. 시간지연값 설정은 Impulse측정화면에서 [Set Delay To Peak]버튼을 눌러도 동일한 동작을 한다.
  3. 시간지연값을 미리 preset으로 지정해 놓고 F6-F10버튼으로 불러서 사용할 수도 있다.시간지연 측정값 위의 [Delay]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값을 입력해서 사용한다.

시간 지연값을 설정하면 주파수응답 곡선을 볼 수 있다.
 위쪽은 위상응답곡선이고 아래쪽은 진폭응답곡선이다.


 4. 저장하기


주파수 응답곡선을 Reference Register(이하 RR이라 부름)라고 불리는 곳에 저장할 수 있다. RR은 A,B,C,D,E의 5개의 그룹이 있으며, 각 그룹마다 4개의 저장공간이 있다.
  • 저장하기 : 저장할 곳의 버튼 누름 -> [Capture]버튼 누름
  • 저장된 플롯 보지 않기 : 그룹 버튼(A~E)누름
파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[Info]버튼을 누르고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저장한다. 확장자는 RR 1개씩 저장하는 경우에는 *.ref이고, 그룹 전체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*.rgp이다.

캡춰된 그래프가 나오는 경우에는 dB+/-에 나오는 색상은 RR의 색상과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된다.(즉, RR에 저장된 그래프가 녹색인 경우 dB+/-의 숫자 색상도 녹색)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